Git

Github 기초

차돌박이츄베릅 2023. 5. 10. 13:33

git이 파일 기록해두는 장소: repository
로컬 외에도 온라인repository(원격저장소) 만들면 컴퓨터고장나도 안심 && 협업가능

 

원격저장소 생성하기 - Github

  1. github.com 로그인
  2. 우측+ 클릭 - New repository
    이름만 잘 짓고 확인. public으로?
    readMe파일 같은건 체크해제해도 됨

 

원격저장소 작업 준비

  1. 로컬폴더 만들어서 Vscode에서 열기
  2. 터미널에서 git init
  3. git branch -M main : github.com은 기본브랜치 이름을 main으로 강요함

 

사용법

  • git remote add 변수명 원격저장소주소 (관습적으로 변수명 origin에 원격저장소주소 https://원격저장소주소.git 할당해서 많이 씀)
  • git remote -v : 변수 목록
  • git push -u 원격저장소주소 올릴로컬브랜치명 : 로컬에서 원격저장소로 업로드함. -u추가하면 주소 기억하라는 뜻
  • git pull 원격저장소주소 브랜치명 : 원격저장소에 있는 내용을 로컬저장소에 가져와서 합쳐줌
  • git clone https://원격저장소주소.git : 원격저장소에 있던거 그대로 내려받기

 

원격저장소 브랜치 만들기

개발자마다 원격저장소에서 브랜치를 만들어서 개발하고 merge하는게 안정적인 협업방식

  • 방법1: 깃헙 사이트 - 왼쪽상단버튼 브랜치명 main 클릭. 오른쪽 1 branch 클릭해서 삭제 등 관리 가능
  • 방법2: 로컬저장소에서 브랜치 만들고 push해도 똑같음

 

원격저장소 브랜치 merge하기

  • 방법1: github안에서 하기(시니어가 코드 리뷰 후 깃헙사이트에서 merge하는 경우가 많음)
    상단탭 pull requests(이게 merge요청임) - New pull request 버튼 클릭(merge요청 가능)
  • 방법2: 로컬에서 해서 push하기

 

.gitignore 파일을 하나 만들면 저장소에 올리지 않을 파일들을 쉽게 명시가능
거기 명시한 파일들은 git add . 해도 스테이징이 되지 않아서 편리하다.
.gitignore 파일에 명시해주면 됨

 

 

 


내 코드 올리기 프로세스 (내 기준)

  1. 로컬폴더 만들어서 Vscode에서 열기
  2. 터미널에서
    git init
  3. git branch -M main
  4. git remote add origin https://원격저장소주소.git
  5. 작업파일 스테이징 및 커밋
  6. 작업파일 원격저장소에 업로드하기
    git push -u origin 올릴로컬브랜치명

 

타인과 협업하기 프로세스 (타인 기준)

  1. 팀원 깃헙아이디 등록해놓기 : 깃헙사이트 상단 settings 클릭 - Collaborators 클릭
  2. 새로운 작업폴더 생성
  3. 터미널에서
    git clone 원격저장소주소 : 모든 소스코드가 다운 받아짐
  4. 작업 후 업로드하기
    깃헙사이트에서 pull requests하거나 로컬에서 git pull, git push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ignore  (0) 2023.05.18
[에러해결] unable to access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0) 2023.05.18
Git 개발전략  (0) 2023.05.10
Git 기초  (1) 2023.05.10
Github에서 파일 배포하기  (0)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