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flow
출시된 버전의 안정성이 중요한 프로그램들, 아직 뼈대가 확실하지 않아 연구식으로 개발하는 프로그램에 적절
- main 브랜치
- develop 브랜치 (개발용)
- feature 브랜치 (develop에 기능추가용)
관습예시: feature/guild 작명예시: feature/friend - hotfix 브랜치 (main 브랜치 버그해결용)
- 가끔 release 브랜치 (develop 브랜치를 main 브랜치에 합치기 전에 최종 테스트용)
Trunk-based 전략
이미 어느정도 개발이 진척이 되었거나 코드짠걸 바로 대중에 배포를 해도 상관없는 프로그램이면 trunk-based가 편리함.
최근 유행한 CI/CD 이런 식으로 개발하는 곳들도 trunk-based 개발방식을 적용.
main 브랜치와 기능추가용 feature 브랜치만 운영하면 됨.
github flow도 이거랑 비슷합니다.
- 기능추가, 버그픽스가 필요하면 main 브랜치에서 새로운 브랜치를 하나 만들어서 코드짭니다.
브랜치마다 작명 잘하는게 중요 - 기능이 완성되었으면 main 브랜치에 합칩니다.
이제 브랜치 쓸데없으니 삭제합니다. - main 브랜치에 있는 코드를 필요할 때 마다 유저들에게 배포.
- trunk-based 개발의 장점은 코드를 한 브랜치에서만 관리하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 크게 개발해서 한 번에 merge 하는 것 보다 작은 단위로 merge 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하지만 main 브랜치에 있는 코드가 뻑이나면 큰일나기 때문에 테스트나 코드리뷰를 자주해야합니다. 그래서 테스트를 자주하고 자동화해놓는 곳들이 제대로 사용가능합니다
출처: 코딩애플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ignore (0) | 2023.05.18 |
|---|---|
| [에러해결] unable to access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0) | 2023.05.18 |
| Github 기초 (0) | 2023.05.10 |
| Git 기초 (1) | 2023.05.10 |
| Github에서 파일 배포하기 (0) | 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