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29

Chapter 07. 문서 객체 모델

문서 객체(document object) : HTML 요소(element) 문서 객체 모델(DOM, Document Objects Model) : 문서 객체를 조합해서 만든 전체적인 형태. Document(HTML 파일)를 Javascript가 알아먹을 수 있는 Object 형태로 Modeling 한 것 문서 객체 트리(tree) 구조 부모(parent) 자식(child) Node 객체의 속성은 해당 객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을 가져오거나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메서드는 해당 객체가 수행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예) Node 객체의 nodeName 속성은 해당 노드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열 값을 반환합니다. 반면에 appendChild() 메서드는 해당 노드의 자식 노드를 추가하는 메서드이며, ..

JavaScript 2023.04.29

Chapter 06. 객체

요소 : 배열 내부에 있는 값 속성 : 객체 내부에 있는 값 메소드 : 속성 중에 동작(함수 자료형)인 것 this 키워드 : 객체 내부의 메소드에서 객체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객체 속성 추가 객체.속성 = '값' 객체 속성 제거 delete 객체.속성 객체(object) 이름(name) + 값(value)으로 구성된 속성(property)을 가진 데이터 타입 접근 시 키key 사용 배열(array) 배열도 객체 접근 시 인덱스 사용 인덱스(index) + 요소(element) 배열인지 확인하려면 Array.isArray() new Array()를 사용하여 배열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음. let numbers = new Array(5); 메소드 내부의 this () => {} 형태로 선언하는 화살표 함..

JavaScript 2023.04.27

Chapter 05. 함수

함수 호출 : 함수를 사용하는 것 매개변수 : 함수를 호출할 때 괄호 내부에 넣는 여러 가지 자료 리턴값 : 함수를 호출해서 최종적으로 나오는 결과 익명함수 : 출력했을 때 별다른 이름이 붙어있지 않은 함수. 순차적인 코드 실행에서 해당 줄을 읽을 때 생성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익명 함수를 더 선호하는 편) function () {} 형태 선언적 함수 : 출력했을 때 이름이 붙어있는 함수. 순차적인 코드 실행이 일어나기 전에 생성되므로, 선언적 함수를 생성하기 전에 함수를 호출해도 문제 없이 실행 됨 function 함수() {} 형태 함수 정의하기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함수 표현식 let add = function(x, y) { retu..

JavaScript 2023.04.27

Chapter 04. 반복문

요소(element) : 배열 내부에 들어있는 값. 어떤 종류의 자료형도 요소가 될 수 있음 [요소, 요소, 요소, ... ,요소] 인덱스(index) : 요소의 순서 배열[인덱스] 배열.length : 배열 요소의 개수 확인 배열.indexOf(요소) : 배열 내부에서 특정 값의 위치를 추출 배열 뒷부분에 요소 추가하기 배열.push(요소) 배열 요소 제거하기 인덱스로 요소 제거 배열.splice(인덱스, 제거할 요소의 개수) 값으로 요소 제거 const 인덱스 = 배열.indexOf(요소) 배열.splice(인덱스, 1) 배열 내부에서 특정 값을 가진 요소 모두 제거하기 배열.filter((item) => item !== '특정값') 배열의 특정 위치에 요소 추가하기 배열.splice(인덱스, 0, ..

JavaScript 2023.04.26

Chapter 03. 조건

비교 연산자 일치 연산자(===) 불일치 연산자(!==) 작다(), 작거나 같다(=) 연산자 논리 연산자 논리곱(&&) 연산자 : 두 값이 모두 true일 경우에만 true를 반환 논리합(||) 연산자 : 두 값 중 하나라도 true일 경우 true를 반환 논리부정(!) 연산자 : true를 false로, false를 true로 값을 반대로 바꿈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 조건식 ? true일 때의 값 : false일 때의 값 (10 > 5) ? "크다" : "작다"; // "크다" 논리합 연산자를 사용한 짧은 조건문 false || console.log('실행') // 실행 true이면 추가 연산을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좌변이 false면 우변을 검사해서 실행됨 || 연산자를 사용하여..

JavaScript 2023.04.26

Chapter 02. 자료와 변수

Uncaught SyntaxError: Unexpected indentifier // 구문오류: 식별자가 예상치 못한 위치에서 등장했다는 오류. 잘못된 식별자 코드가 있다는 의미이므로 이를 수정하면 됨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 단항 연산자(피연산자 1개), 이항 연산자(피연산자 2개), 삼항 연산자(피연산자 3개)로 구분함. 예) 10 + 20 // 피연산자가 10과 20으로 2개이므로 이항 연산자 이스케이프 문자(\) \" : 따옴표를 문자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 \n : 줄바꿈 \t : 탭 \\ : 역슬래시(\) 그 자체를 의미 자료형 검사 타입 연산자를 사용하여 값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음. 원시 자료형의 경우, 해당 자료형의 이름을, 객체나 함수의 경우, "object" 또는 "funct..

JavaScript 2023.04.25

Chapter 01. 자바스크립트 개요와 개발환경 설정

JS 언어의 특징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지원 : 데이터와 함수를 객체라는 그룹으로 묶어서 처리함 동적 타이핑: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지정하지 않음. 런타임 시점에 변수에 할당되는 값에 따라 자동으로 테이터 타입이 결정 함수형 프로그래밍 지원: 함수를 일급객체(일반 값과 마찬가지로 변수에 할당하거나, 함수의 인자로 전달하거나, 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로 취급하고, 고차 함수(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지원 비동기 처리: 작업을 순차적으로 기다리지 않고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클라이언트 및 서버 측 모두에서 사용 가능: Node.js를 이용하여 서버측에서도 사용됨 개발환경 개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환경 = 텍스트 에디터(VSCode) + 코드 실행기(구..

JavaScript 2023.04.25